무의식이란?
자신이 의식하지 못하는 자신과 주변, 주위의 환경에 대한 자각이 없는 두뇌 활동의 상태로 비 의식이라고도 한다.
정신분석학의 창시자로 불리는 지그 먼트 프로이트에 의해 알려지게 되었다.
무의식적인 작용은 농담이나 꿈을 통해서 직접적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프로이트, 카를 융은 분석심리학을 통해 '마음속의 의식이 아닌 영역'이다라고 말한다.
일부의 정신분석학에서는 무의식의 존재를 의심하기도 하는데, 에리히 프로의 경우 정신분석학자이지만 프로이트적인
의미에서 무의식을 인정하지 않았다.
모리스 메를로퐁티 같은 현상학자들은 '수동적 의식'으로 무의식을 의식의 연장이라고 생각했다.
비정신적 분석학의 학문분야인 뇌신경과학에서는 의식적 자각에 따르지 않는 정신적인 상태를 가리키는 의미로 무의식을
정의하였으며, 비 의식(nonconscious process)이라는 용어로 지칭하기도 했다.
인지심리학, 신경과학에서는 무의식은 경험적이고 과학적인 데이터에 의해 다루어야 할 분야라고 보고 있다.
인지과학의 연구자들은 사람이 의식적인 사고를 통해서 자각하는 정보보다 더 많은 데이터를 자각 외 요소에서 의도적
이지 않게 본능적으로 수집 및 획득할 수 있음을 밝혀냈다.
무의식의 논하기 위해서는 그 밑바탕에 의식에 대해 논하지 않으면 안 될 것이다.
의식은 일반적으로 인간이 인지하고 있는 사고로
'내가 의식하고 있으면, 의식이 있을 때, 자명적으로 존재 이해되는 무엇인가'
이라고 한다.
철학의 분야에서는 오랫동안 의식과 자아는 동일시 인식되었다.
의식은 주관적인 시점으로 파악이 되어 온 것은 객관적으로 규정하기에 적합하지 아니했고, 정량적으로 보기에도 맞지
않은 부분이었다.
이 때문에 심리학에서도 영혼, 마음, 의식은 과학적으로 정의하지 않고, 반응과 자극 행동주의 등을 기반으로 보고 있다.
의식은 존재하는 현상이지만 과학적으로 증명하기는 어렵고 의식이 존재한다는 주관적인 판단을 기초로 하는 심리학이
대부분이다.
그러나 의식이 없다고 생각하거나 과학적으로 증명할 수 없기에 존재하지 않는다고 생각하는 학파도 있어
확정 지을 수는 없는 것도 현실이다.
1. 의식
사람은 여러 가지의 것을 의식하지만 눈앞 또는 가까이 앞두고 있는 것, 또는 의미가 있거나 감각적인 패턴을 가진 자극
을 의식하는 것도 의식의 일부라고 할 수 있다.
이런 의식을 커다란 개념으로 정의할 때 기억이라고 정의하며, 기억은 재생의 과정을 통해 습득한 지식 등을 재현 하기도
하지만 내적인 이미지의 형태로 과거의 시각, 청각, 후각 등의 정경을 통해서 생각이 되기도 한다.
이러한 재생 활동은 습관적인 반응 활동을 통해서 나타나기도 하는데, 반복적으로 행하는 행동에 있어서 다음 행동이
생각하지 않아도 반사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특별하게 생각이나 기억을 하지 않는 의식이 없는 상태에서 다양하고 많은 일들이 가능하며, 감정이나 의미로 구성이
되는 의식의 흐름으로 지속적으로 행동할 수 있는 것이다.
생각하지 않는 반사적인 의식과 달리 기억을 상기하는 의식의 경우 심리적으로 감정이 고조되거나 상기되는 등의 의식의
매끄러운 흐름에 변화가 생겨 기억이라는 부분을 재생하려는 노력의 의식이 고조된다.
그러한 기억은 대뇌의 신경세포의 구조 패턴 어딘가에 존재하고 있는 경험으로 생긴 것으로 현재 상태의 의식을 넘어선
'전의식'이라는 영역에 있다고 보인다.
2. 무의식
두 가지의 주요한 의미가 있는데, 하나는 '의식이 없는 상태' 하나는 '마음속의 의식이 아닌 영역'이다.
의식이 없는 상태란!? 대뇌의 기능이 희박한 거의 없는 상태를 의미한다.
대뇌의 기능은 인간이 살아 숨 쉬는 한 완전하기 멈춘다고 정의하기 어려울 정도로 기준을 정의하기 어렵기 때문에
거의 없는 상태라고 무의식을 구분하는 것이다.
의식이 없다는 것은 외부 반응이나 자극에 대한 인식하지 못하게 되는 상태이다.
책을 읽으면서 음악을 듣는 2가지 활동을 하고 있을 때 책에 집중하게 되는 어느 순간에 음악이 들리지 않는 것과
같아. 음악은 끊기지 않고 지속적으로 흘러나오고 있었으나, 책을 읽는 집중 활동을 통해 일시적으로 음악을 인식
하지 못하게 된 것이다.
사람은 살아가는 환경과 시간 속에서 다양한 자극을 받아 감각적으로나 의미로 받아서 의식하고 있는데, 대뇌의
기억 속에 기록되고 있는 실제 표현하는 것보다 아주 방대한 양의 데이터가 축적이 된다.
일상의 시간 속에서 여러 가지 다양한 감작적, 의식적 자극이 의식의 대상이 되어 존재하는 이 의식의 대상은
자극(감정, 의미, 감각)의 패턴이지만, 의식되지 않으며, 정체가 드러나지 않는 기억의 내용들이기도 하다.
의식은 인식하고 있다 하는 일반적인 것 이외에 대상의 전부 또는 전체가 존재하고 있음의 의미이기도 하다.
또 한편으로는 인지하고 있는 대상이 의식의 범위, 영역에 들어오는 것으로 기억에 떠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사람은 일상에서 다양하고 방대한 양의 기억을 대뇌에 기록한다.
대뇌 안에서 기억을 통해 의식에 재생이 되는 경우도 있으나, 대부분의 기억은 재생이 되지 않고 대뇌의 깊은
창고에 저장이 되어 그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재생이 되지 않지만 그 기억은 감정적이나 의미가 있는 외부 자극의 연결된 구조를 통해 재생될 가능성도
가지고 있다.
어떠한 계기를 통해서 재생의 가능성은 있으나, 그 가능성은 매우 희박하며, '의식의 영역'을 통해 재생되지
않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이를 '의식 밖의 영역'에 있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의식 밖의 영역이 어떠한 방식으로 구조화가 되어 있는지도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이러한 구조화에 대해서는 사람이 자라온 성장 하며 학습한 정보 외의 선천적으로 타고 나는 지식과 같은
생각의 구조가 존재한다.
그 하나의 예로 사람이 사용하는 언어는 사람의 지적 수준에서만 구사할 수 있는 대화법이며, 놈 토스키의
생성문법에서는 '사람의 대뇌에는 선천적으로 언어를 구성하고 구사하는 능력과 구조가 갖추어지고 있다'
라는 논리를 펴고 있다.
예로 아이가 지금까지 들어본 적 없고 경험한 적이 없을 것 같은 표현을 한다면 그것은 무엇을 통해 학습이
되고 재생할 수 있는 것일까? 이것이 무의식이며, 의식이 아닌 영역에 대한 부분이라고 보고 있는 것이다.
톱 스키가 말하는 보편 문법의 구조는 무의식의 영역에 있는 정서의 구조이다.
언어의 흐름 및 자연스러운 표현의 생성은 의식 속의 깊은 무의식의 영역에서 말과 의미를 둘러싸고 있는
정서를 말한다.
무의식의 영역은 기억 또는 지식의 구조가 있어서 학습하지 않은 것을 표현하거나 재생하는 것은 가설이
아닌 입증된 팩트이다.
'건강하고 부유한 삶'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인(coin) 투자의 천재 워뇨띠 대해서 공부하기(3) (0) | 2022.10.12 |
---|---|
코인(coin) 투자의 천재 워뇨띠 대해서 공부하기(2) (0) | 2022.10.11 |
가난의 어려움을 겪고 있다면!? 자신을 돌아봐야 할 강의 (1) | 2022.10.10 |
코인(coin) 투자의 천재 워뇨띠 대해서 공부하기(1) (1) | 2022.10.04 |
심리학의 연구방법론 (0) | 2022.08.15 |
댓글